오늘날 사이버 보안 환경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기존 보안 모델은 갈수록 교묘해지는 최신 사이버 위협을 따라잡는 데 역부족입니다. 최근 기업 보안에서 가장 큰 흐름 중 하나는 오래된 VPN방식에서 제로 트러스트 네트워크 접근(ZTNA)으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수년 동안 원격 접근 보안의 핵심이었던 VPN은, 사이버 공격이 고도화되고 하이브리드 근무가 보편화되면서 이제 더 이상 ‘보안’이 아니라 오히려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이와 달리, ZTNA는 현대적인 보안 환경에 딱 맞는 더 안전하고 유연한 접근 방식을 제시합니다.
기존 VPN의 위험성
VPN은 네트워크 경계가 명확했던 시절에 설계되었습니다.
원격 사용자가 접속하면 기업 네트워크 전체에 광범위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일단 인증된 사용자는 전적으로 신뢰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하지만 이런 구시대적인 신뢰 모델은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반복적으로 악용되어 왔습니다.
기존의 VPN 방식이 안고 있는 주요 위험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과도하게 넓은 접근 권한: VPN으로 한 번 접근이 허용되면, 사용자는 내부 네트워크 전체를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어 만약의 경우 네트워크가 뚫렸을 때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습니다.
- 잦은 보안 침해: VPN 취약점은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가장 빈번하게 악용되는 공격 통로입니다. 공격자들은 오래된 VPN 장비나 허술한 인증 체계를 집중적으로 노립니다.
- 낮은 성능 및 확장성: VPN은 지연(latency)을 유발하고 수많은 원격 사용자를 동시에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어, 답답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런 위험들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원격 접근 방식을 다시 검토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더 안전한 대안으로 ZTNA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세 가지 주요 이유를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ZTNA는 맹목적인 신뢰를 없애고 공격의 통로를 줄입니다.
앞서 얘기한 것처럼, VPN의 가장 큰 결점은 ‘신뢰’를 기반으로 운영된다는 것입니다.
만약 공격자가 도난당한 계정이나 피싱, VPN 취약점 등을 통해 네트워크에 침투하면, 권한을 계속 높여가며 네트워크 전반을 옮겨 다니며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반면, ZTNA는 ‘절대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한다(never trust, always verify)’라는 엄격한 원칙을 따릅니다.

모든 접근 요청을 개별적으로 검증하여 다음을 보장합니다.
-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자원에 접근하기 전에 반드시 인증과 권한 확인 절차를 거칩니다.
- 최소 권한 원칙(least-privilege basis)을 적용해 계정이 해킹되더라도 잠재적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 마이크로세그먼테이션(Microsegmentation)을 통해 사용자는 필요한 특정 애플리케이션만 사용할 수 있고, 기업 네트워크 전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막습니다.
ZTNA를 도입하면 기업의 공격 표면을 획기적으로 줄여 사이버 범죄자가 내부 시스템을 악용하기 훨씬 더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2. ZTNA는 VPN 취약점과 보안 침해를 막아줍니다.
최근 VPN 해킹 사례는 놀랄 만큼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이버 범죄자들은 기업 네트워크로 통하는 관문인 VPN 인프라를 집중적으로 노립니다.

VPN과 관련된 심각한 보안 문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계정 정보 탈취 및 피싱: 공격자들이 VPN 로그인 정보를 훔치거나 추측하여 내부 자원에 접근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 패치되지 않은 VPN 장비 악용: 많은 기업들이 VPN 장비 패치를 제때 하지 않아 이미 알려진 취약점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 랜섬웨어 및 데이터 침해: 일부 악명 높은 랜섬웨어 공격은 VPN 취약점을 이용해 침투한 뒤, 악성코드를 네트워크 전반에 퍼뜨립니다.
ZTNA는 VPN 터널을 신원 기반 접근 제어로 대체하여 이러한 위험들을 제거합니다.
ZTNA 솔루션은 단순히 네트워크 접근을 허용하는 대신, 장치 상태, 위치, 위험 수준과 같은 상황 정보에 따라 사용자와 장치를 유연하게 평가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공격자들이 접속 지점을 악용하는 것을 훨씬 더 어렵게 만듭니다.
또한, ZTNA 솔루션은 다중 인증(MFA),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EDR), 그리고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SIEM) 도구와 연동되어 보안 가시성과 통제력을 한층 높여줍니다.
3. ZTNA는 더 나은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기존 VPN은 오늘날의 클라우드 우선(Cloud-first),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지 않았습니다.
기업들이 SaaS와 원격 근무를 도입하면서 VPN 기반 접근 모델은 심각한 성능 저하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흔히 발생하는 VPN 성능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네트워크 혼잡: 모든 원격 트래픽을 중앙 집중식 VPN 게이트웨이로 다시 보내는 ‘백홀링(backhauling)’ 방식은 지연을 유발하고 클라우드 앱 접근 속도를 떨어뜨립니다.
- 낮은 확장성: VPN은 많은 수의 원격 사용자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데 한계가 있어 접속 끊김이나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집니다.
- 답답한 사용자 경험: 직원들은 자주 접속을 끊었다 다시 연결해야 하거나 앱 속도가 느려져 생산성이 떨어집니다.
ZTNA는 트래픽을 중앙 집중식 VPNC1를 거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안전하게 연결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클라우드 기반인 ZTNA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 불필요한 병목 현상 없이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앱에 더 빠르고 직접적인 접근
- 원활한 확장성으로 원격 근무자와 분산된 팀을 손쉽게 수용
- 모든 접근 요청에 일관된 보안 정책을 적용해 보안과 편의성을 동시에 잡음
결론
오래된 VPN에서 ZTNA로의 전환은 단순히 새로운 유행이 아니라, 사이버 보안의 필수적인 진화입니다.
한때 안전한 원격 접근의 필수 요소로 여겨졌던 VPN이 이제는 구식의 신뢰 모델과 잦은 취약점 때문에 심각한 보안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는 것을 기업들은 점차 깨닫고 있습니다.
ZTNA는 맹목적인 신뢰를 제거하고, 공격의 통로를 줄이며, 전반적인 보안 태세를 강화하는 훨씬 더 나은 근본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세분화된 신원 기반 접근 제어를 통해 ZTNA는 VPN이 가진 일반적인 위험을 줄이면서도 더 확장 가능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경험을 선사합니다.

사이버 위협이 계속 진화하는 만큼, 원격 접근 전략을 현대화하지 않는 기업은 뒤처질 수 있습니다.
ZTNA를 도입하는 것은 단순히 보안을 강화하는 것을 넘어, 직원들에게 더 매끄럽고 안정적인 경험을 보장합니다.
바로 이것이 ZTNA가 안전한 원격 접근의 미래인 분명한 이유입니다.
- VPN Concentrator: VPN 네트워크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역할로 VPN 연결을 처리하고, 보안 터널을 설정하며, 트래픽을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 ↩︎